본문 바로가기
▣ 세상만사 ▣/이런일 저런말

한국 하면 떠오르는 매력, 교통환승·24시배달·의료보험

by 세월따라1 2015. 9. 17.

매력 코리아 리포트 <1> 우리가 가진 강점들
시민이 꼽은 39가지 매력 1위는 IT
20대는 배달·응원문화·패션, 50대는 인적자원·존댓말 꼽아
대리기사도 외국선 없는 매력

 

한국인이 꼽은 대한민국 최고의 매력은 ‘문화’였다. 중앙일보가 창간 50주년을 맞아 경희대와 공동으로 실시한 미래리포트 조사(일반시민 3068명 대상)에서 대중문화(26.6%)와 전통문화(22.4%)가 1·2위를 차지했다. 응답자의 절반이 문화를 한국의 제1 매력으로 생각했다. 의료(17.7%)와 경제(14.4%), 교육(9.4%)도 주요 매력으로 꼽혔다. 국회의원·장관·최고경영자(CEO) 등 오피니언 리더층(124명) 조사에서도 문화가 54%로 압도적 1위였다.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은 “K팝 등 한류 문화는 전 세계에 어필할 수 있는 국가 브랜드”라고 말했다. 박시환 전 대법관은 “유교·불교·도교로 대표되는 한국의 전통사상은 우리 문화의 꽃”이라고 말했다.

 

 

 

취재팀은 대한민국의 매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빅데이터 4872만 건을 분석하고 전문가 인터뷰 등을 거쳐 한국의 매력 요소 39가지를 선정했다. 시민들이 직접 점수(100점 만점)를 매겨 평가하게 했더니 그 가운데 문화·경제 항목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1위는 정보통신(IT)기술(75.9점)이었고, 버스환승체계(70.9점), 배달문화(70.7점), 영화·드라마(69.3점), 도시철도망(68점), K팝(67.4점)이 최상위권에 들었다.

 배달문화와 버스·도시철도의 점수가 높게 나온 것은 일상생활의 편의적 요소도 한국의 매력으로 승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JTBC 비정상회담 출연 멤버인 알베르토 몬디(이탈리아인)는 “어디든 배달 오는 음식문화, 밤늦게 술 마셔도 편리한 교통체계 등 전 세계 어디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한국만의 매력이 있다”고 말했다. 기욤 패트리(캐나다인)도 “대리기사 서비스도 다른 나라에선 찾아볼 수 없는 매력이다. 안전한 도시문화와 IT기술이 접목된 것은 한국이 최고”라고 말했다.

 

 

청년과 부모 세대 모두 문화·경제 관련 이슈를 가장 큰 매력으로 꼽았지만 우선순위는 조금 달랐다. 20대는 배달문화·응원문화·패션 등을, 50대는 높은 수준의 인적자원과 존댓말 문화 등을 한국의 매력으로 생각했다. 지은림 경희대 교육대학원장은 “공동체적 질서를 강조하는 기성세대와 달리 젊은 세대는 일상 속의 행복과 개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고도성장의 경험(67.3점·7위)과 의료보험제도(66.4점·9위) 등은 전 세대에서 골고루 지지를 받았다.

 미래에 대한 전망에서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차이는 컸다. 20대의 절반가량(45%)은 한국의 미래를 어둡게 봤다. 반면 60대 이상에선 그 비율이 14%였다. 미래 한국의 가장 중요한 이슈로 40대 이상 기성세대는 통일을 압도적으로 선택했다. 그러나 20·30대는 빈부격차를 제일 중요한 문제로 꼽았다. 김중백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고도성장의 과실을 얻을 수 있었던 기성세대와 달리 젊은 세대는 취업과 일자리 문제 같은 현실적 어려움에 부닥쳐 희망의 싹을 틔우지 못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론 한국의 미래를 어둡게 보지만은 않았다. 전체 응답자의 61.7%는 ‘한국 사회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74.5%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 이룩한 것에 자부심을 느끼며, 72.9%는 우리에겐 훌륭한 인적자원이 있다고 믿는다고 응답했다. 84.8%는 스마트폰 등 선진 IT기술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겼다. 정종필 경희대 미래문명원장은 “‘헬조선’과 같은 열패감과 비관을 딛고 우리 안에 잠든 매력을 일깨워 미래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핵심은 매력한국 건설”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경희대 공동 기획 ◆특별취재팀=윤석만·남윤서·노진호·정종훈·백민경 기자, 김다혜(고려대 영문학과)·김정희(고려대 사학과) 인턴기자 sam@joongang.co.kr ◆경희대 연구팀=정진영(부총장)·정종필(미래문명원장)·지은림(교육대학원장)·김중백(사회학)·이문재(후마니타스칼리지)·이택광(문화평론) 교수

http://joongang.joins.com/article/018/18683018.html?ctg=1200&cloc=joongang|home|newslist1